11월, 2018의 게시물 표시

우리나라의 도로는 충분한가, 혹은 그렇지 않은가?

이미지
OECD가 지난 2015년에 발간한 'Environment at a Glance'라는 리포트를 보면, 환경과 관련된 국가별 다양한 통계가 나와있다. (본 문서는 OECD iLibrary 에 들어가면 누구나 확인할 수 있음) Greenhouse gas emissions, CO2, SOx, NOx 등 다양한 환경관련 지표들이 있지만, 나는 여기서 Road traffic, vehicles and networks에 등장하는 교통관련 지표를 살펴보고자 한다. 사실 환경관련 보고서에 왜 교통이 나왔는지 의아할 수 있겠지만, 주지하다시피 교통은 대기오염과 밀접하게 관련이 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탄소발자국의 크기가 작은 대중교통의 사용을 늘리고 자가용의 사용을 줄이는 것이 환경적인 관점에서 바람직한 방향일 것이다. 문제는 방법의 영역인데, 사실 대중교통의 사용을 늘리려면 사람들은 집적도가 높은 도시에 모여 살아야 하며, 지하철이나 BRT와 같은 인프라 건설을 활성화시켜야 한다. 시골에 살아보면 알겠지만, 자가용이 없이는 쉽게 움직이기 어렵다. 게다가 상하수도 인입비용, 전기선로 연결비용, 수하물 운송비용 등을 생각하면 오히려 환경적으로 악영향을 끼치는 것들이 더 많음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표는 녹색연합의 조사 인데, 얼핏 보면 경기도나 서울시와 같은 수도권이 이산화탄소 배출을 집중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인구대비로 따지자면 이는 다른 관점으로 해석할 수 있다. 예컨대 상위 2개 지자체인 경기도 및 서울, 그리고 하위 2개 지자체 광주, 제주를 비교해 보자면, 다음과 같이 변화된다. 아이러니하게 일인당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가장 적은 지자체는 서울시이며, 그 다음은 광역시인 광주시이다. 결국 일반적인 인식과 다르게 사람이 도시에 모여 사는 것은 오히려 더 친환경적인 것일 수 있는 것이다.  여튼 다시 주제로 돌아가 보자면, 도로길이당 자동차의 대수 통계로 보자면 한국은 포르투갈 다음으로 많은 비율을 보여준다.